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유한대학교
입학상담
검색하기
메뉴열기
검색어 입력
검색하기
닫기
입학 홈페이지
입학상담
SITEMAP
LANGUAGE
KOREAN
대학소개
총장인사말
총장인사말
대학연혁
대학연혁
대학이념
유일한 박사 소개
유한패밀리기업 소개
건학이념
사명,인재상 및 교육목표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대학상징
대학UI
교가안내
기관안내
조직도
행정부서
부속기관
대학정보
규정집
행정업무편람
정보공개
대학평의원회
등록금심의위원회
업무추진비
예결산공고
대학교자체평가결과
학교법인
이사장인사말
인원현황
법인이사회 회의록
개인정보보호
개인정보공시
개인정보처리위탁
캠퍼스안내
캠퍼스 맵
찾아오시는 길
전화번호
입학안내
대학홍보
YUHAN News
YUHAN News
홍보영상
홍보영상
홍보브러슈어
홍보브러슈어
유한학보
유한학보
세계속 YUHAN
세계속 YUHAN
사회속 YUHAN
사회속 YUHAN
포토갤러리
행사
YUHAN NOW(매거진)
YUHAN NOW(매거진)
학과안내
학과안내
학과안내
자유전공학과
자유전공학과
공학부
기계공학과
기계설계학과 기계설계전공
기계설계학과 3D프린팅금형전공
건축설비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자동화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VR게임·앱학과
기계전기전자학부
기계전기전자학부
IT학부
IT학부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학과
실내건축학과
시각디자인학과
애니메이션영상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지식융합학부
인공지능융합학과
산업안전보건융합학과
IT융합비즈니스학과
자유전공학과
건강생활학부
식품영양학과
호텔조리학과 호텔외식조리전공
유한생명바이오학과
의료뷰티학과 뷰티화장품전공
반려동물산업전공
신설
지식서비스학부
호텔관광·외식조리학과 호텔관광전공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일본비즈니스전공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중국비즈니스전공
경영학과 경영정보전공
경영학과 유통물류전공
경영학과 세무회계전공
경영학과 항공경영전공
경영학과 광고미디어경영전공
보건의료행정학과
보건복지학과
아동보육학과
학생서비스
원스톱서비스
증명서 발급안내
등록
학사경고/유급
휴학/복학
전과/재입학/졸업
제적/자퇴/학적기재변경
학번조회
병무
장학/학자금 대출
학사관리
학칙
4년제 전공심화과정 운영규칙
학사일정
강의계획/강의평가
수업
성적
4년제 연계 편입제도
대학요람
통합서식자료
상담/진로/취업
학생이력관리시스템
사이버상담창구
취업준비
입사지원요령
면접준비
취업정보
유한광장
캠퍼스공지
공지사항
입찰공지
규정 제·개정 의견수렴
채용안내
채용안내
재학생 FAQ
재학생 FAQ
학생자치활동
자치위원회 및 대의원회
동아리
복지시설
도서관
NEW SQUARE
스포츠센터
잡카페
학생상담센터(힐링카페)
구내식당
부가시설
무선랜서비스
발전기금
발전기금
산학협력단
산학협력단
산학협력단
산학협력단 플렛폼
산학협력단 플렛폼
평생교육원
유일한기념관
메뉴 닫기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정보공개청구
정보목록
사전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안내
1. 정보공개제도란?
- 국가기관 ·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고 예산을 어떻게 집행하고 있는지 국민들이 알 수 있도록 공공 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정보공개법의 재정. 시행
- 국민의 알권리를 확대하고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96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을 제정·공포 하고, ‘9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습니다.
3. 주요정책정보의 사전 공표 확대
- 국민생활관련정보,예산집행내역등 중요정보는 정보공개청구가 없더라도 공공기관이 사전에 공개범위·주기·시기·방법을 미리 공표하고 정기적으로 공개하게 됩니다.
4. 정보공개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 청구공개: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정보를 청구인의 청구에 의하여 공개하는 제도입니다.
- 정보공표 : 공공기관이 보유·관리하는 중요 정책·사업, 예산집행 등에 관한 정보를 정보통신망 등을 통해 사전공표하는 제도 입니다.
5. 누가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까?
- 모든 국민 : 모든 국민은 청구인 본인 또는 그 대리인을 통하여 공공기관에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법인 · 단체 : 법인과 단체의 경우 대표자의 명의로 공공기관에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외국인 : 국내에 일정한 주소를 두고 거주하거나, 학술·연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체류하는자, 국내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법인 또는 단체에 한해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6. 어떤 정보를 청구할 수 있습니까?
-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서(전자문서 포함) · 도면 · 사진 · 필름 · 테이프 · 슬라이드 및 기타 이에 준하는 매체 등에 기록된 사항
-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상 기록물과의 관계 : "공공기관이 업무와 관련하여 생산 또는 접수한 문서 · 도서 · 대장 · 카드 · 도면 · 시청각물 · 전자문서 등 모든 형태의 기록정보자료"인 기록물은 모두 정보공개청구의 대상이 되는 정보에 해당합니다.
정보공개처리 절차
7. 정보공개청구서 작성
- 청구인은 원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이를 보유 · 관리하는 공공기관에 정보공개청구서를 기재하여 제출합니다.
- <청구서기재사항>
청구인의 이름 · 주민등록번호 및 주소
청구하는 정보의 내용, 정보형태, 공개방법 등
- 청구를 받은 공공기관은 정보공개처리대장에 기록하고 청구인에게 접수증을 교부하고, 접수부서는 이를 담당부서 또는 소관기관에 이송하게 됩니다.
8. 공개여부의 결정
- 공공기관은 청구를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공개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10일의 범위내에서 연장할 수 있습니다.
- 공공기관은 청구정보가 제3자와 관련이 있는 경우 제3자에게 통보하고 필요한 경우 그 의견을 청취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 제3자의 비공개요청 : 공개청구된 사실을 통보받은 제3자는 의견이 있을 경우 통지받은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당해 공공기관에 공개하지 아니할 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9. 공개여부 결정의 통지
- 공개를 결정한 때에는 공개일시 · 공개장소 등을 명시하여 청구인에게 통지하되, 공개를 결정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공개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 공개청구량이 과다하여 정상적인 업무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보의 사본·복제물을 먼저 열람하게 한 후 일정기간별로 교부하되 2월 이내에 완료하여야 합니다.
- 비공개로 결정한 때에는 비공개사유·불복방법 등을 명시하여 청구인에게 지체없이 문서로 통지하여야 합니다.
10. 정보공개방법
- 문서, 도면, 카드, 사진 등 : 열람 또는 사본의 교부
- 필름, 녹음 · 녹화테이프 등 : 시청 또는 인화물 · 복제물 교부
- 마이크로필름, 슬라이드 등 : 시청·열람 또는 사본 · 복제본의 교부
- 파일형태의 전자적 정보 : 전자우편(e-mail)을 통한 송부, 매체(디스켓, CD)에 저장하여 제공, 열람 · 시청, 사본 · 출력물 제공
11. 본인확인
- 공개를 실시할 때 청구인 본인 또는 정당한 대리인임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확인할 필요가 없는 경우 청구인의 요청에 의해 사본·출력물, 복제파일 등을 우편·팩스 또는 전자우편으로 송부할 수 있습니다.
12. 부분공개
- 비공개정보와 공개정보가 혼합되어 분리가능한 경우 공개청구의 취지에 부합하는 범위내에서 부분공개가 가능합니다.
13. 즉시공개
- 공개를 목적으로 작성되거나 홍보자료, 공개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정보는 별도의 결정절차 없이 즉시 공개합니다.
불복구제절차
14. 이의신청
- 청구인의 이의신청
청구인은 공공기관의 비공개 또는 부분공개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공개여부의 결정통지를 받은 날 또는 비공개의 결정이 있는 것으로 보는 날부터 "30일" 이내에 공공기관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이의신청방법
이의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인터넷으로도 가능)
신청인의 이름 · 주소 및 연락처, 정보공개여부결정의 내용, 이의신청의 취지 및 이유 등을 기재합니다.
-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
공공기관은 이의신청을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결정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7일 이내의 범위에서 결정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각하 또는 기각결정을 하는 경우 행정심판 또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은 이를 고지하여야 합니다.
- 제3자의 이의신청 및 권리보호
제3자로부터 비공개요청을 받은 공공기관이 공개결정을 하는 경우 제3자는 공개통지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공공기관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공공기관은 공개결정일과 공개실시일 사이에 최소한 30일의 간격을 두어야 하며, 제3자는 이 기간 내에 행정심판 소송제기와 동시에 집행정지를 신청하여 공개실시에 대항할 수 있습니다.
15. 행정심판
- 심판청구
청구인이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공기관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이의신청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심판청구서는 피청구인인 행정청 또는 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다만,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외의 공공기관의 결정에 대한 감독행정기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으로 하게 됩니다.
- 심판청구기간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음을 안 날부터 "9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합니다.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는 날부터 "180일"을 넘겨서는 아니됩니다.
- 재결
재결은 피청구인인 행정청 또는 위원회가 심판청구서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1차에 한하여 "30일"의 범위내에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16. 행정소송
- 소송제기
청구인이 정보공개와 관련한 공공기관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때에는 이의신청·행정심판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행정소송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제소기간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은 날 또는 행정심판을 거친 경우 재결서 정본의 송달을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합니다.
공공기관의 결정이 있은 날 또는 재결이 있은 날부터 1년이 지나면 제기할 수 없습니다.
정보공개 법령과 웹페이지 주소로 구분된 정보공개안내 테이블
정보공개 법령
웹페이지
법률
http://www.law.go.kr/LSW/lsEfInfoP.do?lsiSeq=102479#0000
시행령
http://www.law.go.kr/LSW/lsEfInfoP.do?lsiSeq=117983#0000
시행규칙
http://www.law.go.kr/LSW/lsEfInfoP.do?lsiSeq=118413#0000
상단으로 가기